인공지능의 수업활용에 대해 다같이 고민해 보자는 취지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Local LLM에게 '지식'을 구해보았다.
LLM은 태생적으로 '그럴싸하게' 언어를 연결짓는 모델이고,
말(글)을 지어내는 능력을 '학습'된 데이터로 발휘하는 것이다.
오픈된 LLM을 사설서버에 구축해서 '지구가 태양계의 중심'이라는
과거의 데이터와 꾸며낸 데이터로 학습시켜 서비스를 한다면...
한국광복군의 2차 세계대전 당시 연합군으로 참전했던 활동에 대해 물었다
먼저, 두 모델의 대답을 들어보자.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google/gamma3 - 4B
LLM 모델을 Mac에 설치하여 실행하였다. 컴퓨팅 파워가 부족해 더 많은 파라미터의 모델을 사용하지 못한 점은 한계이다. (4B=40억개의 파라미터)
2. google/gamma3 - 12B (추가) ***
노트북의 성능이 부족하여 gamma3 4B를 사용했었다. 새로운 맥북은 성능이 좀 받쳐주는지라 12B를 실행할 수 있었다. 파라미터 수가 늘어난 만큼 그럴듯했다.
3. google/gemini - 2.5 flash
gemini.google.com 에 접속하여 질문하였다. 범용 데이터로 잘 학습된 모델.
1. google/gamma3 - 4B
네, 2차 세계대전 당시 한국광복군(한국인민혁명군)의 역사는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한국광복군은 일본 제국주의에 저항하여 해방을 위한 투쟁을 전개한 한국인들의 무장 단체로, 2차 세계대전의 흐름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1. 한국광복군의 탄생과 활동 배경**
* **상황**: 1940년대 초, 일본은 한반도를 침략하여 한국을 식민지로 만들었습니다. 이에 분노한 한국인들은 독립운동을 전개했고, 일본의 지휘 아래에서 무장 투쟁을 시작했습니다.
* **창설**: 1940년, 일본 경찰의 탄압에 맞서 독립운동을 강화하기 위해 한국인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한국광복군이 창설되었습니다.
* **구성**: 주로 독립운동가, 학생, 지식인 등 다양한 계층의 한국인이 참여했으며, 일본군과 협력하여 일본군에 맞서 싸웠습니다.
* **활동**: 1940년대 중반부터 1945년 광복까지, 한국광복군은 일본군에 대한 게릴라전을 펼치고, 일본의 식민 통치를 방해하며 독립운동에 힘썼습니다.**2. 한국광복군의 역할과 특징**
* **게릴라전**: 한국광복군은 일본군에 맞서 지형지물을 이용한 게릴라전을 펼쳤습니다. 산악 지역에서 은밀하게 움직이며 일본군을 괴롭히고, 식량과 물자를 탈취했습니다.
* **일본군 협력**: 한국광복군은 일본의 지원을 받아 무기를 제공받고, 일본군의 정보망을 이용하여 일본군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습니다. 하지만 이는 독립운동의 양면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합니다.
* **해방 후**: 1945년 일본이 항복한 후, 한국광복군은 해방을 위한 준비를 하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에 참여했습니다.**3. 한국광복군 관련 논쟁과 비판**
* **일본 협력**: 한국광복군의 일본군 협력은 논쟁적인 주제입니다. 일부 학자들은 한국광복군의 일본 협력이 독립운동의 진정성을 훼손했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다른 학자들은 일본의 압박 속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해야 했던 상황을 고려하여, 한국광복군의 일본 협력을 긍정적으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 **역사적 평가**: 한국광복군의 역사적 평가는 여전히 논쟁적인 주제이며, 다양한 관점에서 평가되고 있습니다.**4. 추가 정보 및 참고 자료**
* **한국광복군 관련 도서**:
* 김영재, 『한국광복군사』 (2013)
* 이동진, 『한국광복군』 (2008)
* **관련 웹사이트**:
* 한국사신문: www.koreasociety.net/news/articleView.html?idxno=2385
* 위키백과: ko.wikipedia.org/wiki/%EA%B0%84%EB%A1%9C%EC%9D%98_%EC%9D%B4%EB%A1%9C%EC%9D%B4%EB%A1%9C한국광복군은 2차 세계대전의 한반도 상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입니다. 다양한 관점에서 한국광복군의 역사를 살펴보면서, 한반도의 역사적 갈등과 독립운동의 어려움을 되새기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혹시 한국광복군과 관련하여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해주세요.
2. google/gamma 3 - 12B
## 한국광복군의 2차 세계 대전 참전군으로서의 역할: 복잡하고 비극적인 역사
한국광복군은 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제국에 맞서 싸운 독립군 조직으로, 복잡하고 비극적인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의 참전은 단순히 전쟁에 참여한 것이 아니라, 조국 독립을 위한 투쟁의 일환이었으며, 국제적인 상황과 얽혀 있습니다.
**1. 배경: 일본 제국주의의 압제와 독립운동의 열망**
* **일제강점기:** 1910년 한국은 일본 제국에 의해 강제로 합병되었습니다. 이후, 한국인들은 정치적 자유를 박탈당하고 경제적으로 착취받으며 억압적인 상황에 놓였습니다.
* **독립운동의 시작:**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국인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독립을 위한 투쟁을 전개했습니다. 초기에는 평화적인 방법으로 독립을 요구했지만, 일제의 강압적인 통치에 맞서 무장 투쟁의 필요성이 커졌습니다.
* **만주 지역의 독립군 기지:** 만주는 한국 독립운동가들에게 중요한 거점이었습니다. 다양한 독립군 조직들이 만주 지역에 기지를 건설하고 훈련을 받으며 일본 제국에 맞서 싸웠습니다.**2. 한국광복군의 탄생과 조직**
* **1940년 결성:** 1940년, 중국 상하이에서 김원봉을 중심으로 한국광복군이 결성되었습니다. 이는 조선인 각계각층의 청년들이 모여 결성을 한 조직으로, 중국 국민당 정부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 **국민당과의 협력:** 한국광복군은 국민당 정부와 협력 관계를 맺고, 국민당 군대에 편입되어 일본 제국에 맞서 싸웠습니다.
* **정규군 체제:** 한국광복군은 정규군 체제를 갖추고, 훈련을 통해 전투 능력을 향상시켰습니다.**3. 주요 참전 활동과 전과**
* **중국과의 전쟁:** 한국광복군은 중일전쟁에 참전하여 일본군과 교전을 벌였습니다. 특히, 1941년에는 자격단 전투에서 큰 승리를 거두며 한국광복군의 위상을 높였습니다.
* **미국과의 협력:** 1942년에는 미국과도 협력을 체결하고, 태평양 전쟁에 참전했습니다.
* **일본군 공격:** 한국광복군은 일본군 기지 및 군사 시설을 공격하며, 일본 제국에 타격을 입혔습니다.
* **전과:** 한국광복군은 여러 전투에서 일본군을 격퇴하며, 조국 독립에 기여했습니다.**4. 비극적인 종말과 평가**
* **해체:** 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한국광복군은 해체되었습니다.
* **귀환 문제:** 해체 이후, 많은 한국광복군들이 귀국을 희망했지만,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 **잊혀진 영웅들:** 많은 한국광복군들이 전쟁의 상처와 귀환 문제로 인해 고통받았으며, 그들의 헌신은 오랫동안 잊혀졌습니다.
* **평가:** 한국광복군은 조국 독립을 위해 헌신한 용감한 투사들이었습니다. 그들의 헌신은 한국 독립의 역사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오늘날까지도 기억되고 존경받아야 합니다.**5. 추가 정보 및 참고 자료**
* **자격단 전투:** 한국광복군이 일본군에 맞서 거둔 중요한 승리 중 하나입니다.
* **김원봉:** 한국광복군의 초대 사령관으로, 조국 독립을 위해 헌신한 지도자입니다.
* **한국광복군 기념관:** 한국광복군의 역사를 보존하고 전시하는 기관입니다.**주의 사항:**
* 한국광복군의 역사는 복잡하고 논쟁적인 부분이 많습니다.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여 균형 잡힌 시각으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한국광복군의 참전은 조국 독립을 위한 투쟁의 일환이었지만, 동시에 중국 국민당과의 협력 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어려움과 비극적인 상황도 존재했습니다.이 정보가 한국광복군의 2차 세계 대전 참전군으로서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3. google/gemini 2.5 flash
네, 한국광복군은 제2차 세계대전의 연합군으로서 활발하게 활동했습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40년 9월 17일 중국 충칭(重庆)에서 한국광복군을 창설하고, 1941년 12월 9일 일본과 독일에 선전포고를 하며 연합국의 일원으로 참전했습니다.
한국광복군의 연합군으로서의 주요 활동 기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영국군과의 연합 작전: 한국광복군은 인도-버마 전선에 파견되어 영국군과 함께 작전을 수행했습니다. 주로 대적 선전, 포로 심문, 암호문 번역, 선전 전단 작성, 회유 방송 등의 임무를 맡았습니다.
- 미국 OSS와의 협력 (독수리 작전): 1945년에는 미국 전략정보국(OSS, Office of Strategic Services)과 협력하여 한국 국내 진공 작전인 '독수리 작전(Eagle Project)'을 계획하고 요원들을 훈련했습니다. 이 작전은 일본의 갑작스러운 항복으로 실행 직전에 무산되었지만, 연합군의 일원으로 한반도 진공을 계획했던 중요한 기록입니다.
- 중국군과의 협력: 한국광복군은 중국 본토에서 중국군과 연합하여 일본군에 대항하는 다양한 군사 활동과 첩보 활동을 전개했습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한국광복군은 국제 사회에 한국이 일본의 식민지가 아닌 독립적인 주체로서 연합국과 함께 일본에 대항하고 있음을 알리고, 전후 한국의 독립을 인정받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카이로 선언(1943)과 포츠담 선언(1945)에서 한국의 독립이 명시된 것 또한 이러한 한국광복군의 활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외교적 노력이 영향을 미친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요약
- gamma 4B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이해 없이 질문이 원하는 맥락으로 대답. 관련자료도 모두 존재하지 않음.
- gamma 12B는 역사적 사실에 대해 어느 정도 접근했으나, 존재하지 않는 사실이 불필요하게 추가되었음.
- gemini는 역사적 사실이 정확하고 짧고 명료하게 연합군 자격의 활동을 정리.
모델의 수준이나 티켓의 크기를 떠나서 학습자에게 인공지능이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고민해 보자는 취지이다. 이를 악용하여, 제작자가 원하는 데이터로 학습되어 편향성을 가진 LLM을 제작한 뒤, 온라인챗봇, 유튜브콘텐츠 등으로 제작하여 노출된다면, 객관성을 떠나 특정인의 의도대로 지식과 상식을 주입할 수 있지 않을까.
인공지능을 학습시키는 다양한 이론과 방법이 공개되어 있어서 누구나 만들 수 있는 현실이다. 이를 교육적으로 활용해 할지, 주의해야 할지에 대한 고민에 대해 지나쳐도 괜찮다. 확실히 파라미터의 수가 많을 수록 그럴듯하게 말할 줄 안다.
진실의 영역은 교사수업과 백과사전에 맡기고, 학습자와 성장하면서 현재의 지식 수준에 맞추어 토론하고, 기억하고, 정리를 돕는 보조자의 역할의 동반성장형 인공지능 모델을 제안한다.
맥노턴.